분류 전체보기45 연주시차 가상실험 프로그램 아래 링크에 가면 연주시차를 가상으로 실험해 볼 수 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parallax/parallax.htm 연주시차를 이용하면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연주시차 가상실험을 실행시키고 우측 지구에서 관찰한 모습을 보면 천구에 정지해 있는 별들 사이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별을 볼 수 있다. 이는 지구에 가까이 있는 별이 지구의 공전으로 시차가 생겨 보이는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를 이용하면 별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가까이 있는 별은 시차가 크고, 멀리 있는 별은 시차가 작다. 그런데 별까지의 거리를 잴때는 시차가 아니라 연주시차를 이용한다는 것 알고 있니?. 연주시차는 시차의 1/2 이다. (아마 과학자들은 무엇이든 단순화 시키는 걸.. 2020. 11. 15. 스트림스 오름차순 웹 빙고 게임 - 쌍방향 온라인 수업시 웹에서 실행 보드게임 중에 스트림스(streams)라는 오름차순 빙고게임이 있다. 학습지에 20칸을 출력해 주고, 교사가 앞에서 번호를 부르면서 진행하거나 판매되는 수학보드게임을 구입해서 직접 수업시간에 모둠별로 참여하면 좋다. 그런데 코로나 때문에 온라인 학습이 장기화 되면서 대면해서 보드게임을 진행하기가 어려워 졌다. 고민하다 인터넷 상에서 쌍방향 수업할 때 함께 참여할 수 있게 웹용으로 만들어 보았다. 아래 링크 주소를 공유해 주고 접속해서 실행하게 하면 된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streams/streamsgamenum.html 상황에 따라서 숫자선택을 눌러가며 혼자도 할 수 있고 함께 하기를 눌러 교사가 임의의 숫자를 불러주면서 반 전체가 동시에 참여하게 할 수도 있다.. 2020. 11. 5. 지진대와 화산대와 판의 경계 비교 가상실험 지진대와 화산대를 지도에 표시하고 서로 겹쳐 보면서 비교해 보자. 아래 링크에 접속하면 가상으로 실험해 볼 수 있단다. (가능하면 노트북으로 하도록, 스마트폰에서는 조금 느리네) sciencej1.cafe24.com/html5/pan/pan.html 시간이 된다면 직접 지진이 발생한 지역을 세계지도에 표시해 보고, 또 화산이 분포하는 지역을 세계지도에 표시해서 서로 비교해 보는 활동을 직접 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거야. 신기하게도 지진이 일어나는 지역과, 화산이 분포하는 지역이 거의 비슷하다는 걸 알 수 있어.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지진대, 화산활동이 일어나는 지역을 화산대라고 하는데, 두 지역을 거의 일치 하지? 그건 지진과 화산이 일어나는 지역에는 활발한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걸 의미.. 2020. 10. 18. 멘델의 유전법칙 통계 가상 실험 멘델이 유전법칙을 증명하기 위해서 했던 실험을 우리도 가상으로 실험 해보자. 멘델의 분리의 법칙이나 독립의 법칙은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우는 것처럼 자손에서 정확하게 비율이 맞지 않기 때문에 멘델은 여러번 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를 이론값과 비교해 가면서 멘델은 유전원리를 알아내게 된거야 아래 링크에서 멘델처럼 다양한 유전자형을 이용해서 우열의 원리, 분리의 법칙, 독립의 법칙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링크에 접속해서 직접 실험하면서 멘델처럼 종이에 기록해 보자 https://sciencej1.cafe24.com/html5/mendelexperiment/mendelexperiment_student.html 한두번 실험해서 정확한 값이 나온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걸 알게 될 거야.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실.. 2020. 10. 18.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